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애벌레기르기

 

그래서일까요, 송충이의 피부색도 딱정벌레와는 달리 흰색이 일색이고 몸도 통통하다기보다는 상대적으로 갸름한 모습입니다.

딱정벌레는 너덜너덜한 부엽토를 먹는데, 사슴벌레는 참나무 속의 부드러운 목질을 갉아 길을 내고 먹이를 따게 됩니다.

따라서 유충병에 발효오가쿠즈라는 먹이를 넣을 때 참나무 질의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고품질 발효오가쿠즈를 잘 억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준비된 애벌레 병에 애벌레를 넣을 때도 진입을 위한 구멍을 미리 뚫어 놓아야 합니다.구멍에 들어간 애벌레는 다시 나오지 않고 길을 뚫어 나아가고 배설도 제자리에서 합니다.한편, 딱정벌레는 유충병의 상부에 올라와 배설해 갑니다.

숲벌레 850ml 투명애벌레 세트 기준으로 약 2~3개월에 한 번 먹이를 교환해 줍니다.사슴벌레의 배설물은 축축한 공간에서 배설하기 때문에 배설물이 상부에서 마르지 않고 내부에서 잘 고착됩니다.따라서 딱정벌레의 먹이교환 때와는 달리 먹이교환시 애벌레병의 기존 톱을 비우는 작업이 쉽지 않아 애벌레병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주의깊게 다뤄야 합니다!!

자웅동성충은 자웅이동이고, 자웅동성충은 자라면서 자웅이동이 커집니다.알로 태어난 지 약 3개월이 되면 크기로 암수를 구별할 수 있을 만큼 서로 차이가 나고 몇 달이 지나면 암컷의 엉덩이 뒤쪽으로 노란 난소 자국이 나타납니다.

애벌레의 암수가 구별되면 이 순간부터 애벌레 세트의 관리를 달리합니다.

겨울 휴식기를 제외하고 수컷은 약 7~9개월 먼저, 암컷은 약 6개월에 걸쳐 유충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암수에 따라 구별된 암컷은 수컷보다 1~2개월 먼저 용화되어 우화됩니다.번데기가 되는 시기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면 성충에게 우화하여 꺼내지 못하고 굶어 죽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므로 암컷은 특히 번데기방이 생성되는 시기에 주의 깊게 관찰하여 우화에 미리 대비합니다. 그리고 1~2개월 후에 수컷이 번데기방이 되면 금방 알게 될 것입니다.~~